티스토리 뷰
재산세는 건축물과 토지, 선박, 항공기에 대해 지자체에서 부과하는 지방세금이며, 7월과 9월에 2회 나눠서 납부합니다. 세금은 납부기간이 지나면 가산세를 부과받게 되니, 재산세 납부기간과 조회방법 등을 미리 조회하여 기간 내 납부하시기 바랍니다.
재산세 전자고지
저는 얼마 전 부가세 신고 기간을 놓쳐서 아까운 돈을 가산세로 납부한 적이 있습니다. 그때 이후 스마트폰 전자고지 알림 신청을 해놓은 뒤, 세금납부 시기가 되면 매번 알림문자를 받아서 제 때 납부하고 있습니다.
재산세 고지서는 우편으로 받을 수 있지만, 카카오톡, 네이버 전자문서, 또는 신한·삼성카드 앱과 각 은행 어플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. 스마트폰으로 고지서를 받으면 지자체별로 건당 250원~800원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.
재산세 납부기준 및 기간
재산세는 매년 6월 1일 현재 소유하고 있는 재산에 대하여 납부해야 하는 세금입니다.
즉, 5월 30일에 주택을 팔았다면 해당 재산세는 내지 않아도 됩니다. 5월 30일에 주택을 산 사람이 6월 1일에도 그 주택을 보유하고 있으면 재산세를 납부해야 합니다.
납부기간은 6월 1일에 보유하고 있는 사람이 7월과 9월에 납부해야 합니다. 특히 납부해야 할 세금이 20만 원 이상인 주택은 7월에 1/2, 9월에 1/2씩 나눠서 납부하면 됩니다.
재산세는 매년 6월 1일을 기준으로 부과하며, 국세가 아닌 지방세이기 때문에 홈택스가 아닌 위택스를 통해 납부할 수 있습니다.
재산세 납부방법(컴퓨터)
빨간색 네모의 '지방세납부'를 클릭합니다.
로그인을 위해 인증서를 선택합니다.
요즘은 공인인증서가 없더라도 네이버나 다음, 또는 휴대폰, 은행 앱 등을 통해 간편인증을 많이 합니다.
자주 사용하는통신사 'PASS' 앱으로 인증해 보겠습니다.
스마트폰의 'PASS' 앱에서 인증 과정을 거치면 인증완료가 뜹니다.
납부할 재산세를 조회한 후 '납부'를 누릅니다.
납부결과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.
재산세 납부방법(휴대폰)
먼저 구글플레이나 애플스토어에서 위택스 앱을 다운로드합니다.
화면에서 '조회 · 납부'를 클릭합니다.
공인인증서 대신 편리한 간편 인증으로 로그인해 보겠습니다.
저는 자주 사용하는 PASS를 선택하겠습니다.
세금 납부자의 개인정보를 입력합니다.
인증을 진행합니다. 스마트폰을 열고 알림 문자를 열어서 인증 절차를 진행합니다.
이용약관 모두 동의 후 인증요청을 누릅니다.
'개인정보 제3자 공개 동의'를 누르고 '인증'을 진행합니다.
간편인증비밀번호 6자리를 입력합니다.
'인증완료'를 누릅니다
조회납부 내역을 확인합니다.
납부방법을 선택합니다.
'회원납부'는 위택스에 회원가입한 경우에 적용됩니다. 그 외에는 '타인납부'를 선택합니다.
'인터넷지로 납부시스템 약관동의'에서 '전체동의' 후 확인을 누릅니다.
납부방법으로 계좌이체, 신용카드, 간편 결제(신용카드) 중에서 하나를 선택합니다.
납부결과를 확인합니다.